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자전거는 지지(支持)부분ㆍ동력접수부분(動力接受部分)ㆍ전동(傳動)부분ㆍ작업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프레임ㆍ앞포크ㆍ안장(새들)ㆍ핸들 등으로 구성되며, 자전거의 다른 부분 및 동력원(動力源)인 타는 사람을 적절한 위치에 |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은 다이아몬드형 프레임인데, 속이 빈 강관(鋼管)을 3개의 삼각형 모양 |
으로 조립ㆍ용접한 것이다. |
삼각형의 구조는 절곡(折曲) 또는 꼬임의 힘을 단순한 인장(引張)이나 압축의 힘으로 변화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매우 높은 |
강도를 지니고 있다. 3개의 삼각형 중에서 두 바퀴 사이에 위치한 삼각형은 상ㆍ하 파이프와 입(立)파이프로 구성되고, 이의 |
하단 접점(下端接點)은 행어(hanger)라 하여 그곳의 축(軸) 커플링(coupling) 속에 페달을 붙이는 크랭크축이 볼베어링으로 |
지지되고 있다. 입파이프의 상부선단에는 안장을 부착시키며, 상파이프와 하파이프가 접점을 이루는 전방선단은 짧은 헤드파 |
이프가 붙어 그 안에서 볼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포크스템이 원활한 회전을 한다. |
포크스템의 아랫부분은 두 갈래로 나누어져 앞바퀴를 양쪽에서 지지하고, 윗부분에는 핸들포스트가 수직으로 연결된다. |
뒷바퀴를 지지하는 나머지 2개의 삼각형은 입파이프를 하나의 변(邊)으로 하고 좌우 2개의 백포크와 체인스테이로 구성되어 |
있는데 그 후, 방접점은 뒷바퀴축에 연결된다. |
![]() |
크랭크와 크랭크에 S자형으로 장착된 페달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동력원인 타는 사람의 다리의 왕복운동을 원활하고도 낭비 |
없이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실을 한다. |
![]() |
대(大)기어(체인휠)ㆍ체인ㆍ프리휠ㆍ변속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부분이다. 체인이 걸리는 톱니바퀴와 크랭크를 합하여 대기어라 |
하고,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은 대기어ㆍ체인, 그리고 뒷바퀴의 프리휠을 거쳐서 허브로 전달된다. |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인은 강철로 만든 원통형의 롤러를 다수 연결한 롤러체인인데 기계적인 에너지 손실이 적고 전동효 |
율(傳動效率)은 높은 것이 장점이다. 프리휠은 체인의 장력(張力)을 받아들이는 작은 톱니바퀴(小기어 또는 스프로켓이라 한 |
다.)와 그 내부의 래치트(ratchet) 기구로 구성되며, 래치트라는 갈고리가 한 방향의 회전만 뒷바퀴에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
있다. 그 때문에 보행중이나 내리막길에서는 바퀴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고 페달 위에서 발을 쉴 수가 있다. |
대기어의 톱니수를 소기어의 톱니수로 나눈 수를 기어비(比)라 하는데 이 기어비를 자유로 선택할 수 있는 장치를 변속장치라고 |
한다. 이 장치는 단순히 속도를 바꾸기 위해서만 있는 것이 아니고, 0.1∼0.3마력 정도의 약한 인간의 힘을 그때 그때의 속도나 |
바람, 도로의 경사, 노면상태 등 여러 가지 주행조건에 따라서 가장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
현재 채용되고 있는 변속장치에는 톱니수가 다른 몇 개의 기어에 체인을 이동시켜 직접적으로 기어비를 변경시키는 드레일러 |
(derailleur;外裝式변속장치)와 허브의 동체를 굵게 하여 그 내부에다 행성(行星) 톱니바퀴기구(機構)를 짜넣은 변속허브 |
(內裝式 변속장치)가 있다. |
![]() |
회전의 중심이 되는 허브와 스포크ㆍ림ㆍ타이어로 구성되는 바퀴는 차체와 운전자의 무게를 지지함과 동시에 뒷바퀴타이어의 |
얼마 안 되는 접지(接地)부분을 통해서 외부작업을 한다. |
가느다란 경강선(硬鋼線)으로 만든 스포크는 강한 힘으로 서로 끌어당겨 림을 지지하고 있으며, 안장에 운전자의 무게가 걸리면 |
상반부의 스포크만이 방사상으로 당겨져서 무게를 지탱하므로 이를 텐션스포크라 한다. 또한 가속하거나 브레이크를 눌렀을 때 |
힘이 걸리는 것처럼 스포크는 허브의 테두리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뻗쳐진다. |
림과 타이어는 반드시 동일 형식ㆍ치수의 것을 사용해야 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은 W/O형이라고 하는 비드와이어식이며, |
실용차ㆍ경쾌차에는 중량이 큰 B/E형이 많이 쓰인다.
-순천 온누리 출처- |
자전거 교실
알면 알수록 신나고 안전한 라이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공지 | 자전거 교실 |
내 생의 첫번째 자전거 선택하기
8 ![]() |
2015.01.09 |
공지 | 자전거 관리 |
글작성시 반드시 상단 제목 왼쪽 분류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 |
2013.03.24 |
243 | 자전거 교실 |
자전거 세차하기 (Fuji)
![]() |
2014.02.11 |
242 | 자전거 교실 | 자전거의 승하차 방향 | 2014.02.03 |
241 | 쌩초보 입문서 |
자전거 안전하게 타는 방법 총정리
1 ![]() |
2014.01.30 |
240 | 자전거 교실 |
카본섬유의 이해
12 ![]() |
2014.01.28 |
239 | 자전거 관리 |
락샥 레바 정비
1 ![]() |
2014.01.26 |
238 | 자전거 교실 |
로드 자전거 조립하기! - Ghost EBS Race Pro
![]() |
2014.01.20 |
237 | 자전거 법규 |
교통사고 이것만 알아두면 OK! - 우회전 중 신호위반사고
![]() |
2014.01.17 |
236 | 자전거 역사 |
[인류가 만든 馬 자전거의 역사] I. 탄생의 배경
![]() |
2014.01.17 |
235 | 자전거 교실 | 털려 이탈된 체인 손쉽게 장착하는 방법 1 | 2014.01.14 |
234 | 쌩초보 입문서 |
자전거를 타면 좋은 점은?? 자전거의 장점!!
![]() |
2014.01.10 |
233 | 자전거 법규 |
교통사고 이것만 알아두면 OK! -빗길· 빙판길 교통사고
![]() |
2014.01.09 |
» | 자전거 교실 |
자전거 구조
![]() |
2014.01.08 |
231 | 자전거 역사 |
자전거의 출발원
![]() |
2014.01.08 |
230 | 자전거 법규 |
자전거교통관련법규
1 ![]() |
2014.01.08 |
229 | 쌩초보 입문서 |
자전거 안전 준수사항!
1 ![]() |
2014.01.08 |
228 | 자전거 교실 |
평로라 타는법 (평로라 훈련법)
![]() |
2014.01.07 |
227 | 자전거 법규 |
자전거관련 표지판
![]() |
2014.01.06 |
226 | 자전거 법규 |
교통사고 이것만 알아두면 OK! -안전거리 미확보 사고
![]() |
2014.01.03 |
225 | 자전거 교실 |
자전거 셋업하기
1 ![]() |
2014.01.02 |
224 | 자전거 교실 |
출발전 자전거 준비사항
![]() |
2014.01.01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