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자전거 구입하기 전에 체크할 것과 알아두면 좋은 것들
1. 용도에 따른 기종의 선택
자전거를 구입하기 전에 우선 본인이 자전거를 사서 어디에 써먹을지 구체적인 용도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막연히 자전거타는게 좋다.. 라는 말만 듣고 덜컥 크고 작은 돈을 들여 질렀다가 안타게 되고 값비싼 빨랫거리로 전락하다 결국 녹슬어 버리거나 헐값에 처분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아래 링크를 보면 똑같이 사람 힘으로 굴러가는 두바퀴달린 자전거도 그 종류가 꽤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복습: 자전거의 종류
자전거의 종류는 사실 위에 나온 분류보다 더 다양하다. 저긴 공간확보가 용이해서 대중교통연계용으로 적합한 미니벨로가 빠져있는데 미니벨로 안에서도 용도에 따른 종류가 다양하다.
아무튼 자전거를 어떤 목적으로 탈 것인가.
1) 주말에 동호인들과 그룹라이딩에 참여할 것인지,
2) 곳곳의 스트라바 KOM을 깨거나 시합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 싶은지,
3) 산에서 타는걸 즐기기 위함인지
4) 자출용으로 타고다닐 것인지,
5) 자전거 여행을 즐기기 위한 것인지
6) 반경 500m 이내의 아주 가까운 거리만 다닌다든지
7) 집에서 전철역, 전철역에서 직장까지 거리가 멀어서 대중교통 연계용으로 쓰고싶은건지
기타등등...
각 번호에 걸맞는 자전거들을 볼작시면
이 많은 자전거들 중에서 이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은 거의 대부분 로드바이크나 MTB, 하이브리드를 타거나 구입을 희망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그 세 종류의 자전거가 가장 활용도가 높고, 성능이 좋고, 라이딩 즐기기에도 좋기 때문이다.
생활필수품으로서의 자전거가 자동차에게 자리를 내주고 레저용으로 전환됐을때가 대략 80년대 후반. 이때 MTB가 한국에 소개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후 MTB는 20년 이상 전성기를 누리며 레저용 바이크 시장을 지배했지만 산에는 등산객이 많아지고 길에는 자전거도로가 늘어나면서 2010년 이후 급속히 로드바이크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요즘 한강가면 절반 이상이 로드바이크.
하지만 도로 위주로 탄다고 무조건 로드바이크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자전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로드바이크 특유의 낮은 자세와 아래로 굽은 드롭핸들바로 인한 컨트롤이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로를 타더라도 처음엔 보다 다루기 쉬운 MTB나 하이브리드로 라이딩에 익숙해지는것도 좋은 방법이다. MTB의 타이어가 부담스러우면 26*1.25~1.75정도의 온로드 타이어를 쓰면 하이브리드와 비슷한 성능과 정숙성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용도에 따른 기종의 선택.
2. 예산의 설정
예산을 100만원 잡고 100만원짜리 자전거를 사면 안된다.
자전거 못지 않게 각종 용품값이 적지 않게 들어간다. 예산에서 이 용품값을 뺀 금액이 자전거가격이 되어야 한다.
1) 없으면 안되는 필수품들.
헬멧, 장갑, 고글, 예비튜브, 휴대용 펌프, 앞뒤 라이트
2) 있으면 좋은 용품들.
클릿슈즈 및 페달, 계절별 저지 및 패드바지, 사이클컴퓨터(속도계), 휴대용 접이식 공구세트
이 필수품만 최소한으로 잡아도 합쳐서 20만원정도는 생각해야 하며 선택품목까지 다 합치면 1~200은 우습게 넘게된다. 그러므로 선택품목은 한꺼번에 다 사려 하지 말고 필수품만 갖췄다가 선택품목은 스스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마다 하나씩 사는게 경제적으로나 멘탈관리로 보나 더 낫다.
예산에서 이 용품들을 뺀 가격으로 자전거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음은 예산별 자전거의 선택에 관해 다뤄볼 예정.
to be continued
●?Who's 관리자

-
추억속으로
-
추억의 짐차가 보이네요
한 때 집재산 1호였을때가 있었는데 ........ -
출처 명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블로그 글을 그대로 캡쳐해오신듯 한데..
-
외갓집 가면 외할아버지가 타고 계셨던 짐차^^
자전거 교실
알면 알수록 신나고 안전한 라이딩!!
번호 | 분류 | 제목 | 날짜 |
---|---|---|---|
공지 | 자전거 교실 |
내 생의 첫번째 자전거 선택하기
8 ![]() |
2015.01.09 |
공지 | 자전거 관리 |
글작성시 반드시 상단 제목 왼쪽 분류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 |
2013.03.24 |
363 | 자전거 관리 |
자전거 박스 포장 방법
1 ![]() |
2015.10.01 |
362 | 자전거 관리 |
라이딩후 체인 세척과 윤활 손질
![]() |
2015.08.26 |
361 | 자전거 교실 | cross country vs trail bike의 차이는 ? | 2015.08.21 |
360 | 자전거 법규 |
자전거도로 뛰어든 인라인 스케이트와 충돌했다면 누가 가해자?
1 ![]() |
2015.08.11 |
359 | 자전거 교실 |
우리가 '반드시' 선글라스를 써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 |
2015.07.15 |
358 | 자전거 관리 | MTB 자전거정비 꿀팁!! 4 | 2015.06.24 |
357 | 자전거 교실 | 교차로에서 자전거 통행 방법이 따로 있다? 4 | 2015.06.12 |
356 | 자전거 교실 | RockShox Dual Position Air Sevice | 2015.05.04 |
355 | 자전거 교실 |
보다 더 나은 페달링을 위하여
2 ![]() |
2015.05.03 |
354 | 자전거 교실 |
두건 매듭
![]() |
2015.04.30 |
353 | 자전거 교실 |
우리의 자전거를 지켜주세요!
1 ![]() |
2015.04.18 |
352 | 자전거 학원 | MSM academy 강사 사일로 소개영상입니다.^^ | 2015.04.18 |
351 | 자전거 관리 |
자전거를 깨끗히 해주세요~
3 ![]() |
2015.04.16 |
350 | 자전거 교실 | 계단타는법~~~~!!!!!!!!! 3 | 2015.04.09 |
349 | 자전거 법규 | 자전거의 음주운전과 교통사고 | 2015.03.20 |
348 | 자전거 교실 | 2015.03.20 초안산 강습도중 시범 | 2015.03.20 |
347 | 자전거 교실 | 바니홉을 한번 배워볼까요~? 2 | 2015.02.25 |
» | 쌩초보 입문서 |
자전거 구입하기 전에 체크할 것과 알아두면 좋은 것들
4 ![]() |
2015.02.15 |
345 | 자전거 교실 | MTB 테크닉, 보도턱 예각, 사이드 오르기 1 | 2015.02.12 |
344 | 자전거 교실 | MTB 테크닉 - 피봇팅 실전 적용 | 2015.02.12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