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 미끄럼 사고 예방법 |
![]() |
●반드시 장갑을 끼고 편안한 신발을 신고 외출한다. 하이힐은 피한다. 미끄러지지 않는 신이라면 가장 좋다. ●주머니에 손을 넣고 걷지 않는다. 무의식중에 그러지 않도록 조심한다. ●노인은 적절한 보호패드를 착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낙상에 대비해야 한다. ●미끄러져 특정 부위의 통증이 계속 되거나 움직일 수 없으면 병원에 가야 한다. ●특히 차렷 자세 때 손이 닿는 부위의 고관절이 골절되면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넘어진 뒤 머리를 부딪치고 나서 두통, 어지럼증, 집중장애 등의 증세가 나타나면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주위의 사람이 넘어져 의식을 잃고 있으면 가급적 빨리 119 구급대를 부른다. 섣불리 옮기다가는 경추에 무리가 갈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골다공증 환자가 있다면 집에서도 실내를 밝게 하고 목욕탕이나 마루의 바닥을 점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마루나 방의 걸레나 옷가지,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성주의 건강편지 제 818호 발췌-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